WHY

여름에는 낮이 길고 겨울에는 밤이 긴 이유

skystory15 2023. 3. 14. 23:27
반응형


우리는 매일 하늘을 바라보면서 낮과 밤이 번갈아 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름에는 낮이 길고 겨울에는 밤이 긴 이유는 어떨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 보려고 합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자전하는데, 이 과정에서 지구는 자전축이라는 축 주위를 24시간 동안 회전합니다. 그 결과, 태양이 뜨고 지는 시간은 자연스럽게 바뀌게 되는데, 이를 일변적인 움직임으로 보면 낮과 밤이 번갈아가면서 일어납니다.

그러나 지구의 공전 궤도는 태양과 거리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지구가 태양에 가까워지면서는 태양으로부터 받는 조도가 강해지고, 멀어지면서는 조도가 약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지구의 북반구는 태양에 가까워지는 6월 21일 경을 기준으로 여름철이 되며, 이때는 낮이 길고 밤이 짧아집니다. 반면, 12월 22일 경을 기준으로 겨울철이 되며, 이때는 지구가 태양으로부터 멀어지므로 낮은 짧고 밤은 길어집니다.

이와 비슷한 이유로, 남반구에서는 북반구와 반대로 여름과 겨울이 바뀌게 됩니다.

지구의 자전과 공전이 함께 작용하여,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 변화와 조도의 강도 변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지구의 북반구에서는 6월 21일 경을 기준으로 여름철이 도래하면서 낮이 길어지고, 12월 22일 경을 기준으로 겨울철이 도래하면서 밤이 길어집니다. 이와 반대로, 남반구에서는 여름과 겨울이 반대로 일어납니다. 지구의 자연적인 현상인 이러한 계절 변화는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이를 이해하면 자연의 아름다움을 더욱 높이 즐길 수 있습니다.

반응형